본문 바로가기

투자 기초 공부5

재무제표 공부하기 - 1편 주식의 기본은 재무제표를 볼 줄 아는 것이죠 이제까지는 대충 순이익이 늘어나면 기업이 돈을 벌고 있구나 생각했는데돈이 점점 커져가면서 재무제표를 볼 줄 알아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돈의 속성 - 김승호 회장님도 같은 말을 하셨고요!그래서 전 도서관에서 '재무제표 모르면 주식투자 절대로 하지마라 (상)'을 빌려왔습니다. 앞으로 꾸준히 책의 내용 중에 복습할만한 내용은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저도 복습해야하니까) 자산 = 자본 + 부채예) 자산 3억 = 자본 1억 + (부채 2억)투자자는 자산의 규모가 아닌 자본의 규모를 봐야한다. 자산에서 부채를 갚곰나면 남게될 순자산(자본)에 대한 권리를 일정하게 쪼개 놓은 것이 주식이다.단순히 자산의 규모로 회사의 건실함을 주장한다거나, 총자산 증가율로 회사의 성.. 2025. 2. 25.
돈의 속성 경제용어 700선 - 고통지수 뜻 고통지수(Misery Index)는 물가 상승률(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을 더한 값이야.미국 경제학자 **오쿤(A. Okun)**이 만든 지표로,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을 측정하는 데 사용돼.📌 쉽게 설명하면?물가가 오르면 생활비가 부담됨실업률이 높으면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움두 개를 더하면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적 고통을 알 수 있음예를 들어,물가 상승률 5% + 실업률 7% = 고통지수 12수치가 높을수록 국민이 느끼는 고통이 크다는 뜻!📌 하지만 나라 간 비교는 어려움각 나라가 물가와 실업률을 계산하는 방식이 다름 → 단순 비교하면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어.또한 빈부격차나 복지제도에 따라서도 국민이 체감하는 고통이 다를 수 있음.📌 고통지수의 확장1999년 배로(R. Barrow) 교수는👉 국.. 2025. 2. 19.
돈의 속성 경제용어 700선 - 경상수지 뜻 한국은행 정리경상수지는 재화나 서비스를 외국과 사고파는 거래 즉 경상거래의 결과로 나타나는 수지를 말한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및 이전소득수지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 항목들은 금융계정 구성항목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격을 지닌 거래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경제 발전 및 정책 변화의 효과를 측정하거나 전망하는데 널리 이용된다.연관검색어 : 상품수지, 서비스 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쉬운 설명 스타트!경상수지는 우리나라가 외국과 주고받은 돈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이야. 쉽게 말해서 외국과의 거래에서 돈이 더 많이 들어오면 흑자, 더 많이 나가면 적자라고 해. 경상수지의 4가지 구성 요소1. 상품수지: 우리가 물건을 수출하고 수입한 결과수출이 많으면 흑자, 수입.. 2025. 2. 19.
돈의 속성 경제용어 700선 - 가산금리 돈의 속성 책을 읽으면서 경제용어를 모르는게 많아, 103페이지와 104페이지에 나와있는 단어부터 먼저 공부해보려고 한다.한국은행의 설명부터 읽어보자! 가산금리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차이에 따라 달리 덧붙이는 금리를 가산금리(또는 스프레드, spread)라고 한다. 예를 들어 은행이 대출금리를 결정할 때 고객의 신용위험에 따라 조달금리에 추가하는 금리를 말한다. 한편 만기가 길어지면 추가로 가산되는 금리를 기간 가산금리(텀스프레드, term spread)라고 하는데 이것도 일종의 스프레드이다. 통상 신용도가 높으면 가산금리가 낮고, 신용도가 낮으면 가산금리 즉 스프레드는 커진다 .한편 채권시장에서는 비교대상이 되는 금융상품의 기준금리에 대비한 차이를 스프레드라고 한다. 보통 해외에서 채권을 발행할 때 .. 2025. 2. 19.
2023 ver, 매월 공제되는 소득세 ... 기준을 알아봅시다. 왜 갑자기 소득세냐 ?! 월급 명세서 보는데 .... 매월 변동 되길래 .... 안 가져갔으면 좋겠 .... 아무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원래 근로소득세는 결정세액을 1년에 한번 전액 부담해야하는데 그렇게하면 근로소득자에게 부담이 되기 때문에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따라 월급을 차감한다고 해요. 자, 이제 표를 보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1️⃣월 급여액의 기준은 저희 회사는 월급 + 자격증 수당 + 기타 수당이 있어서 헷갈렸는데 회사에서 받는 공제 전 전체 금액이 기준입니다. 월급여액이 두개죠? 왼쪽은 초과, 오른쪽은 미만입니다. 2️⃣공제 대상 가족의 수 본인과 연간 소득금액이 100만 이하인 배우자, 연간 소득금액이 100만원 이하인 부양가족(부모, 자녀)이고 20세 이하 자녀의 수를 합하면 됩니다. .. 2023.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