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은행 정리
경상수지는 재화나 서비스를 외국과 사고파는 거래 즉 경상거래의 결과로 나타나는 수지를 말한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및 이전소득수지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 항목들은 금융계정 구성항목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격을 지닌 거래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경제 발전 및 정책 변화의 효과를 측정하거나 전망하는데 널리 이용된다.
연관검색어 : 상품수지, 서비스 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쉬운 설명 스타트!
경상수지는 우리나라가 외국과 주고받은 돈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이야.
쉽게 말해서 외국과의 거래에서 돈이 더 많이 들어오면 흑자, 더 많이 나가면 적자라고 해.
경상수지의 4가지 구성 요소
1. 상품수지: 우리가 물건을 수출하고 수입한 결과
- 수출이 많으면 흑자, 수입이 많으면 적자
- 예: 한국이 자동차를 수출해서 돈을 벌면 흑자
2. 서비스수지: 여행, 운송, 특허 사용료 같은 서비스 거래
- 외국인이 한국에서 관광하면서 돈을 쓰면 흑자
- 반대로 한국인이 해외여행 가서 돈을 쓰면 적자
3. 본원소득수지: 해외 투자나 근로소득에서 얻은 돈
- 한국 기업이 외국에 투자해서 배당을 받으면 흑자
- 반대로 외국 기업이 한국에서 돈을 벌어 가져가면 적자
4. 이전소득수지: 국가 간의 무상 지원, 해외 송금 같은 돈의 이동
- 해외에서 한국으로 돈을 보내주면 흑자
- 반대로 우리가 다른 나라에 지원금을 주면 적자
왜 중요할까?
경상수지는 나라 경제의 건강 상태를 보여줘.
- 흑자(+): 외국에서 번 돈이 더 많음 → 경제가 안정적
- 적자(-): 외국에 준 돈이 더 많음 → 외화가 빠져나가 경제에 부담
쉽게 말하면 경상수지는 나라가 외국과 돈을 어떻게 주고받았는지를 정리한 장부라고 보면 돼!
댓글